[뉴스포커스] 부업 뛰는 'N잡러' 50만 돌파…34년 만의 '슈퍼 엔저'<br /><br /><br />1개 이상의 부업을 하는 소위 'N잡러'가 최근 청년층과 40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그 결과 노동시간은 늘었지만, 그에 비해 소득 개선 정도는 미미한 것으로 조사됐는데요.<br /><br />고금리·고물가로 가계 경제가 어려워진 영향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일본 엔화 가치가 가파르게 떨어지면서 어제 엔·달러 환율이 1달러당 160엔을 돌파했는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들,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본업 외에 1개 이상의 부업을 하는 사람들을 소위 'N잡러'라고 하는데요. 최근 'N잡러'들이 눈에 띄게 늘었다는 통계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. 일단 연령대로 보면 60대가 부업을 가장 많이 한다고요?<br /><br /> 하지만 증가세는 청년층과 40대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하는데요. 청년층과 40대에서 부업이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통계청에 따르면 법으로 정한 최대 근로 시간인 주 52시간을 초과한 근로자가 작년보다 증가했다고 하는데요. 이것도 N잡러들의 영향이라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부업의 증가로 노동시간이 증가했으나, 문제는 소득 개선 정도는 미비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하는데, 이건 왜 그런 건가요?<br /><br /> N잡러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로 치솟는 물가를 꼽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. 우리나라 소비자물가가 2∼3월 연속으로 3.1%를 유지했고, 4월 역시 3%를 웃돌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 물가가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최근 고물가의 상징이던 '금사과' 가격은 좀 떨어진 것 같은데, 이번에는 당근이나 양파 같은 채소 가격이 급등했다고 하더라고요. 정부가 농산물 가격 안정을 위해 재정을 투입시켰다고 하는데, 야챗값이 오른 이유는 뭔가요?<br /><br /> 앞서도 이야기했지만, 국제유가 상승으로 원재료 수입 가격이 상승해 설탕이나 올리브유 같은 제품들의 가격이 오르면서 빵이나 과자 등 먹거리 가격도 인상될 거라고 하던데, 이 부분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정부는 당초 3월이 지나면 물가가 안정될 것으로 내다봤었는데요. 4월 소비자물가도 3%대를 전망하고 있고, 언제쯤 물가가 좀 떨어질까요?<br /><br /> 물가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는 상황 속에서 가스요금이 오를 것이란 전망이 많았는데요. 일단 이번에는 보류하는 쪽으로 기류가 선회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리던데,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가스뿐 아니라 전기나 지하철 등 공공요금이 하반기에 줄줄이 오를 거라고 하는데, 이것도 앞으로 물가가 얼마나 잡히느냐에 달려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 어제 엔·달러 환율이 장중 160엔대를 넘었다고 하는데요. 엔·달러 환율이 160엔이 넘은 건 1990년 4월 이후 34년 만에 처음이라고 합니다. 빌딩에서 엔화를 뿌린 일본 국민이 있었다고 하던데, 엔·달러 160엔을 돌파한 것이 국제 환율 역사상 어떤 의미가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 상황이 다급해지자 어제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이 직접 시장에 개입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하는데요. 엔화 가치가 이렇게까지 떨어진 이유는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문제는 정부의 직접 개입이 얼마만큼의 효과가 있을 것인가인데요. 현재 일본의 경제 여건을 고려했을 때, 엔저 현상이 언제까지 계속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